Front-End/React 13

[React] 클래스형 컴포넌트와 함수형 컴포넌트

React Component는 클래스형 컴포넌트 또는 함수형 컴포넌트로 작성될 수 있다. 1. 기능적 차이 클래스형 컴포넌트는 함수형 컴포넌트가 할 수 있는 모든 일을 할 수 있다. React 16.8 이전 버전의 함수형 컴포넌트가 할 수 없는 일 상태값을 가질 수 없다 React Component의 생명 주기 함수를 작성할 수 없다 그러나, React 16.8부터 훅(hook)이라는 기능이 추가되면서 함수형 컴포넌트에서도 상태값과 생명 주기 함수 코드를 작성할 수 있게 되었다 2. 결론 새로운 프로젝트를 만든다면 되도록 클래스형 컴포넌트를 지양하고 훅(hook)과 함께 함수형 컴포넌트를 작성하는게 좋다 출처 : 실전 리액트 프로그래밍 도서

Front-End/React 2020.12.15

[React] 리액트란 ? 리액트의 특징 정리

1. 리액트는 페이스북에서 개발하고 관리하는 UI 라이브러리 2. 앵규러와 달리 리액트는 UI 기능만 제공 3. 전역 상태 관리, 라우팅, 빌드 시스템 등을 각 개발자가 직접 구축 4. 가상 돔(virtual dom)을 통해서 UI를 빠르게 업데이트 (가상 돔(virtual dom) : 이전 UI 상태를 메모리에 유지해서, 변경 될 UI의 최소 집합을 계산) 5. 리액트는 함수형 프로그래밍을 적극적으로 활용 (render 함수는 순수 함수로 작성한다 / state는 불변 변수로 관리한다) 6. 컴포넌트의 상태값을 수정할 때는 기존 값을 변경하는게 아니라 새로운 객체를 생성

Front-End/React 2020.12.10